트럼프 전 대통령이 다시 미국 정치의 중심으로 돌아오면서, 그의 상징적인 정책 중 하나였던 대중(對中) 관세 정책이 다시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에 중국도 1기 당시의 경험을 바탕으로 보다 정교하고 치밀한 대응에 나서고 있는 모습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미국과 중국의 관세 전쟁 양상, 그리고 한국이 이 가운데 어떤 전략을 취해야 하는지 짚어보겠습니다.
미국의 104% 관세, 현실 가능할까?
최근 트럼프 전 대통령은 중국의 보복 조치가 철회되지 않을 경우 최대 104%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사실상 중국산 제품 대부분에 대해 두 배 이상의 세금을 매기겠다는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이 같은 극단적인 조치가 현실화될 경우, 미국 내 소비자 물가 상승, 특히 저소득층의 경제적 피해가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중국산 저가 제품은 미국 내 서민층이 많이 이용하는 품목인데, 관세가 높아지면 이들의 생활비 부담이 늘어나게 되겠죠. 트럼프의 정치적 지지 기반과도 맞물리는 부분이라 정치적 리스크도 적지 않습니다.
중국의 보복 전략, 트럼프의 ‘아픈 손가락’을 건드린다
중국도 가만히 있지는 않았습니다. 트럼프 1기 당시에도 중국은 무작위 보복이 아닌, 정치적 계산이 들어간 정밀 보복을 단행했죠. 특히 트럼프의 표밭인 스윙 스테이트, 공화당 강세 지역에서 생산되는 제품에 집중적으로 관세를 매긴 바 있습니다. 이처럼 중국은 정치적 타격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관세 보복을 했고, 트럼프 재임 당시에도 일정 부분 효과를 봤습니다. 이번에도 비슷한 전략을 채택할 가능성이 큽니다.
희토류와 식량, 미국의 급소를 쥔 중국
희토류와 반도체에 들어가는 핵심 광물 자원, 특히 가공된 희토류의 90% 이상이 중국산이라는 점도 주목할 부분입니다. 트럼프가 관세를 강화한다고 해도, 미국이 중국산 희토류에 의존하지 않을 수 없는 구조는 그대로입니다.
또 하나 중요한 것이 농산물입니다. 미국의 대표 수출 농산물인 대두(콩)의 절반 이상이 중국으로 수출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중국이 대두 수입을 제한한다면, 트럼프의 지지 기반 중 하나인 농업 주의 경제에 타격이 가는 것이죠.
♣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중국, '시간은 우리 편'이라는 자신감?
최근 중국의 대응을 보면, 트럼프 1기에서의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강온 양면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겉으로는 보복 관세를 단행하지만, 물밑 협상도 병행하고 있는 정황이 곳곳에서 포착되고 있죠.
특히 중국은 시진핑 체제가 유지되면서 일관된 전략과 관료 체계를 바탕으로, 미국과는 다른 안정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반면 미국은 정권이 바뀔 때마다 정책이 흔들리기 때문에, 중국 입장에서는 시간을 벌수록 유리한 싸움일 수도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전략은? '쇼트트랙 전략'이 해법
이 관세 전쟁의 한가운데서 한국은 어떤 전략을 취해야 할까요? 전문가들은 “1등 그룹의 바로 뒤에서 협상하는 것”이 가장 현명하다고 말합니다. 너무 앞서 나서면 표적이 될 수 있고, 너무 뒤에 있으면 소외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미 관계 유지와 함께, 중국과의 경제 협력도 유지하는 균형 잡힌 외교 전략이 절실한 시점입니다.
맺음말
미중 간의 관세 전쟁은 단순한 수출입 문제가 아니라 정치적, 전략적 패권 다툼의 연장선입니다. 한국은 양국 사이에서 기민하게 움직이며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외교적 기회를 살리는 현명한 전략이 필요합니다.